해외 플랜트 사업 인력 파견 부족으로 심각한 타격

최용민 / 기사승인 : 2020-04-28 15:24:24
  • -
  • +
  • 인쇄
코로나로 극심 타격…건산연, 해외건설사업 국내기업 25곳 조사

▲ 해외 플랜트 공장. [출처=픽사베이]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 나가 일할 인력 구하는 것과 입출국 문제가 어려워 관련 산업에 타격을 받고 있다. 해외에서 건설공사, 플랜트사업을 하는 국내 기업 대부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28'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해외건설 이슈와 대응'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정부와 기업 차원의 대응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건산연이 해외사업을 수행 중인 건설사와 설계·엔지니어링 기업을 상대로 인터뷰·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조사에 응한 기업 25곳은 코로나19의 확산이 현재 진행 중인 해외건설사업 수행에 '심각'(56%), 또는 '매우 심각'(32%)한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건산연은 "수행 중 사업, 착공 예정 사업, 수주 영업 등 해외건설사업의 모든 단계에서 코로나19의 부정적인 영향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현재 건설 사업을 수행 중인 기업들은 '입국 제한 등으로 인한 본국 인력 파견 어려움'(29%)을 가장 큰 애로로 꼽았으며 '발주국의 행정 조치에 따른 현장의 축소 운영'(21%), '현지국가의 봉쇄 조치에 따른 현장 폐쇄'(2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 전체 조사 대상 기업의 60%가 계약 조건상 대유행 전염병의 불가항력 조항의 포함 여부에 대해 '발주처와 협의가 필요한 사항'이라고 응답했다. 계약 조건에 전염병 대유행이 불가항력 조항이 포함돼 있다는 응답은 24%에 그쳤다.

 

코로나19와 관련해 발주처와의 계약변경 협의 시 '공사 기간(공기) 연장에 따른 간접비 증가', '입국 제한 등으로 인한 공기 연장', '현장 폐쇄 및 축소 운영에 따른 공기 연장'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사태 극복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정부 지원 방안으로는 '본국 인력의 입국 제한 조치 완화 및 해제 노력 지속'(35%)을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 밖에 '공기 연장에 따른 계약 분쟁 발생 시 법률 자문'(27%), '국내 기업의 해외공사 코로나19 대상 사례 공유'(18%), '정부 차원의 방역용품 지원을 통한 국가 이미지 제고'(15%)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왔다.

 

이 문제는 정부 차원의 해결 의지가 시급하다. 헤외 인력 송출을 전문적으로 해 온 파견업체 관계자는 나갈 사람도 겁을 먹고 있고 나가고 싶어도 받아주지 않으니 큰 문제라면서 정부가 앞장서서 건강을 보증하고 해외 플랜트 시자의 중요성을 감안 적극적으로 개입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