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연립·다세대 평균 전셋값…2년 전보다 하락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3-05-15 14:50:37
  • -
  • +
  • 인쇄
-서울 연립·다세대 전셋값, 2월에는 평균 550만원으로 2년 전보다 4만원 낮은 가격
-경기도 작년 12월 평균 전셋값, 313만원으로 2년 전 321만원과 비교해 8만원 하락
▲ 수도권 연립다세대 2년 전 전용 3.3㎡당 평균가격 대비 시점별 변동가격 [제공/직방]

 

수도권 연립·다세대 주택의 평균 전셋값이 2년 전보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토대로 수도권 연립·다세대 거래를 분석한 결과, 전용면적 3.3㎡당 평균 전셋값을 2년 전 동일 시점 평균 전셋값과 비교했을 때 가격 차가 점점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2021년 1월 서울 연립·다세대의 전용면적 3.3㎡당 전셋값은 563만원으로 2년 전(452만원)보다 111만원 높았으나, 올해 2월에는 평균 550만원으로 2년 전보다 4만원 낮은 가격에 거래됐다.

경기도 작년 12월 평균 전셋값은 313만원으로 2년 전(321만원)과 비교해 8만원 떨어졌다.

직방은 "최근 수도권 연립·다세대의 전셋값 하락으로 임대차 계약 2년 차 갱신이 도래한 주택은 역전세 가능성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월세 거래비중 월별 추이 [제공/직방]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월세 거래 비중을 월별로 보면, 2021년 전세 거래는 전체의 65∼70% 수준이었으나 점차 줄어 작년 12월에는 50%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올해부터는 다시 전세 비중이 늘어 지난달 62.7%까지 커졌다.

서울 전세 비중은 작년 12월 49.7%로 월세(50.3%)에 뒤처지기도 했으나 올해 1월부터 늘고 있다.

인천도 작년 12월 전세 비중이 53.1%였으나 지난달에는 68.0%로 커졌고, 경기도 올해 1월 49.0%에서 지난 달 57.1%까지 전세 비중이 늘어났다.

직방은 "임차인은 소모성 비용이 있는 월세 거래보다는 전세 거래를 더 선호하기도 하지만 전세사기와 역전세로 인해 전세 거래 우려가 큰 상황과 더불어 올해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도 적지 않아 연립·다세대 전셋값 약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