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덕택에 게임족 폭증, 국민 10명 중 7명

최용민 / 기사승인 : 2020-08-07 13:44:48
  • -
  • +
  • 인쇄
나홀로 집콕으로 증가세 뚜렷, 시간 비용 모두 증가

콘진원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 발간

▲ 응답자 특성별 게임이용 현황. [제공=콘진원]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홀로 있는 시간이 늘어나자 게임을 즐기는 국민들이 크게 늘었다.

 

국민 10명 중 7명이 게임을 이용하고 있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이용 시간과 비용의 증가세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간한 '2020 게임이용자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국민의 70.5%가 게임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년도 대비 4.8%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게임 이용률은 201770.3%에서 201867.2%60%대로 내려섰으며 2019년에는 65.7%2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지만, 3년 만에 다시 70%대로 올라섰다.

 

10대 이용 91.5%모바일게임 이용률 91.1%로 최고

 

게임 분야별 이용률을 중복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모바일 게임이 9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PC 게임(59.1%), 콘솔 게임(20.8%), 아케이드 게임(10.0%) 등의 순이었다. 대세는 스마트폰이었다.

 

이용자 특성별로 보면 남성(73.6%)이 여성(67.3%)보다 이용률이 높았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이용률이 높았다.

 

10대의 이용률은 91.5%로 가장 높았고 남성(92.8%)과 여성(90.0%) 모두 90%대를 기록했다. 20대는 남성이 93.2%10대 남성보다 높았지만, 여성이 76.2%로 전체 이용률은 85.1%를 기록했다.

 

40(76.6%), 30(74.0%), 50(56.8%), 6065(35.0%) 등이 뒤를 이었다. 60대 이상이 35%라는 것은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올해 1월 이전 게임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만 코로나19에 따라 게임 이용 행태에 변화가 있는지 조사한 결과 이용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 분야별로 이용 시간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모바일 게임이 47.1%로 가장 높았으며 PC 게임(45.6%), 콘솔 게임(41.4%) 등도 40%대의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직접 게임장을 방문해야 하는 아케이드 게임은 32.3%가 이용 시간이 감소했다고 응답했으며 증가했다는 응답률은 18.0%에 그쳤다. 감염 확산을 염려한 탓으로 분석된다.

 

게임 이용 시간이 증가한 게임 분야에서는 비용 또한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분야별로 보면 모바일 게임은 비용이 늘었다는 응답(40.8%)이 줄었다는 응답(10.3%)4배 수준이었고, PC게임도 증가(38.7%)가 감소(12.5%)보다 많았다.

 

최근 품귀 현상까지 빚어진 콘솔 게임 분야에서는 게임기 구매 비용이 40.5% 증가했고, 게임타이틀 구매 비용도 41.6% 늘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065세 일반인 384명을 대상으로 527일부터 615일까지 설문과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1.8%포인트다.

 

한편 게임전문가들은 이는 세계적인 추세라면서 이런 트렌드가 심화하면서 청소년들의 시력이 약화되고 운동량이 부족해진다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고 지적한다. 게임과 국민들의 상관과계를 추적 연구하는 노력이 그래서 꼭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