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알바몬 |
코로나19 확산 이후 알바생 절반은 월 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시간이 줄어들어서다.
알바몬이 3일 최근 알바생 1738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아르바이트 애로사항'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 알바생 2명 중 1명(50.5%)이 코로나19 이후 '월 소득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반면 '월 소득이 늘었다'는 응답은 겨우 1.5%로 극소수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48%는 '소득에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아르바이트 월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은 ▲학원・교육(62.6%) ▲매장관리・서비스(50.4%) ▲배달・생산・노무(50.3%) ▲사무보조(48.7%) ▲기타(43.5%) 등의 순이었다.
'코로나19 이후 월 알바소득이 줄었다'고 답한 알바생들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 62.2%의 알바생이 '시급은 기존 그대로지만, 근무시간이 줄면서 총 수입도 줄었다'고 답했으며, '근무시간 감소로 연장수당, 휴일수당이 사라져 수입이 줄었다'는 응답도 9.5%를 차지했다. 이밖에 '코로나19 이후 알바를 바꾸면서 급여가 줄었다(13.8%)', '업무강도가 줄면서 시급을 조정했다(9.0%)' 등 급여 자체가 감소했다는 응답도 있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알바생들은 알바 일자리에 대한 고민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바생 64.4%가 '코로나19 이후 아르바이트를 잘릴지도 모른다는 압박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했다. 알바해고에 대한 압박감은 '학원・교육' 알바생에게서 8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달・생산・노무' 알바생이 53.3%로 상대적으로 덜 느끼고 있었다.
한편 알바생 상당수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된다고 해도 아르바이트를 그만 두지 않겠다는 생각이다. 조사 결과 75.5%가 '사태가 길어지더라도 알바는 계속할 것'이라고 답했다. '당분간 알바를 하지 않을 것'이란 응답은 16.2%에 불과했으며, 8.3%는 '생각하기도 싫다'고 일축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