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주요 4개 아파트 단지…실거주 비율은 감소, 가격은 증가

김용한 기자 / 기사승인 : 2021-02-08 11:22:17
  • -
  • +
  • 인쇄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실거주 비율은 지난해 31%에 불과
▲ 사진=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제공/연합뉴스]

 

강남구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인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실거주 비율은 지난해 31%에 불과했지만, 매매가격은 34평형 기준, 21억원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8일 한국도시연구소는 국회 사무처에 제출한 '임대주택등록제 현황 및 조세 등 개선 방안 마련' 용역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은마아파트를 포함해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아파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아파트, 용산구 한가람아파트 등 4개 단지 1만1천155건의 등기부등본(2020년 8월 31일 기준)을 발급받아 이를 토대로 소유 현황 등을 분석했다.

4개 단지의 평균 실거주 비율은 32.7%였다.

마포래미안(41.8%), 은마(31.5%), 한가람(29.1%), 상계주공5단지(12.5%) 순으로 높았다.

이들 단지 모두 초기 분양 시점 이후 실거주 비율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은마는 1999년 58.8%로 절반 이상이었으나 2005년 51.1%, 2010년 45.5%, 2015년 36.6%로 꾸준히 줄었다.

마포래미안은 2015년 48.3%였지만, 2018년 이후 연간 2%포인트 이상 빠른 속도로 줄었다.

4개 단지 소유주의 평균 나이는 45.6세였다.

연령대는 40대가 33.4%로 가장 비중이 컸고, 30대(28.3%), 50대(22.1%), 60대(7.9%), 29세 이하(4.8%), 70세 이상(3.5%)이 뒤를 이었다.

은마(40.5%)와 상계주공5단지(28.9%)는 40대 비율이 가장 높았고, 마포래미안(30.1%)과 한가람(34.9%)은 30대 비중이 가장 높았다.

실거주하지 않는 소유주들은 대체로 해당 아파트 주변에 살고 있었다.

은마 소유주들은 서울 강남구(33.8%), 송파구(7.2%), 서초구(7.1%) 등에 살았고, 마포래미안 소유주는 서울 마포구(22.0%), 서대문구(4.6%), 영등포구(4.1%) 등에 주거했다.

실거주 하지 않는 소유주의 거주지역을 서울, 인천·경기, 그외 국내 지역과 해외로 나눠 살펴본 결과, 68.0%가 서울에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경기까지 합치면 85.7%였다.

 

▲ 서울 주요 4개 아파트 단지의 실거주 현황 [제공/연합뉴스]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4개 단지별 단위면적당 매매가격은 대체로 2013년부터 증가하기 시작했다.

은마의 경우 2013년 3천347만원으로 가장 낮았고, 그후 꾸준히 올라 지난해에는 8천204만원에 이르렀다.

은마의 2006년 매매가격은 31평형이 약 9억3천만원, 34평형은 약 11억5천만원이었고 2013년 최저가를 기록한 후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 각각 19억원, 21억원을 기록했다.

마포래미안의 단위면적당 매매가격은 2015∼2020년 2배 이상으로 올랐다. 매매가는 34평형 기준으로 2015년 7억4천여만원에서 15억7천여만원까지 뛰었다.

한가람 역시 33평형 기준 매매가격이 2006년 8억2천여만원에서 지난해 16억1천여만원으로 올랐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