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사람인 |
기업 5곳 중 3곳은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직원들의 국어 능력이 이전 세대보다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사람인이 한글날을 앞두고 기업 191개사를 대상으로 'MZ세대 직원의 국어 능력'을 조사한 결과, 56.5%가 이들의 국어 능력이 이전 세대보다 부족하다고 밝혔다.
이전 세대에 비해 부족한 국어 능력으로는 절반 이상이 '어휘력'(55.6%, 복수응답)을 꼽았다. 다음으로 '맞춤법'(41.7%), '경청 태도'(40.7%), '작문 능력'(36.1%), '말하기·듣기 능력'(31.5%), '논리력'(27.8%), '독해력'(18.5%) 등의 순이었다.
업무와 관련된 국어 능력 중 MZ세대가 가장 부족한 부분으로는 '보고서·기획안 등 문서 작성 능력'(52.8%, 복수응답)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구두 보고 및 이해 능력'(46.3%), '이메일 등 텍스트 소통 능력'(35.2%), '전화 커뮤니케이션 능력'(31.5%), '회의·토론 능력'(29.6%) 등을 들었다.
이들 기업의 42.6%는 신입사원 채용에 국어능력 시험을 포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한국어 시험 성적을 요구하는 곳은 4.6%에 그쳐 외국어 성적을 요구하는 비율(31.5%)보다 현저히 낮았다.
전체 기업들이 매긴 MZ세대 직원들의 국어 능력 점수는 평균 64.7점으로 낙제를 겨우 면한 수준이었다. 구체적으로는 '70점'(33%), '80점'(23.6%), '60점'(17.8%), '50점'(9.9%), '30점'(5.2%) 등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