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잡코리아 |
올 연말성과급을 지급하기로 결정한 기업은 10곳 중 1곳에 불과했으며, 절반에 가까운 45%의 기업은 아직 정해진 바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가 최근 기업 인사담당자 847명에게 '연말성과급 지급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연말성과급을 지급하기로 확정한 기업은 11.3%에 불과했다고 13일 밝혔다.
반면 '지급하지 않는다'는 기업은 43.6%,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는 기업은 45.1%로 나타났다.
올해 연말 성과급을 지급하기로 한 기업은 대기업이 29.6%로 가장 높았으며 중견기업 9.7%, 중소기업 7.5% 순이었다.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경영환경 및 실적악화가 작용한 영향이다. 올해 경영실적을 질문한 결과 절반에 가까운 48.2%의 기업이 '작년보다 악화됐다'고 답했다. '작년과 유사한 수준'이라는 응답은 38.2%였으며, '작년보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13.6%에 불과했다.
실제로 성과급을 지급하지 않기로 한 기업(369곳)들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경기가 좋지 않아서(42.3%,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 또 '올해 실적이 나빠서(36.0%)', '회사 재정상태가 좋지 않아서(33.6%)' 등 올해의 경영상황을 이유로 꼽는 응답이 대부분이었다. '그동안 성과급을 지급한 전례가 없어서(34.4%)', '관련 지급 규정이 없어서(22.2%)' 등 이전에도 성과급 지급이 없었음을 시사하는 응답도 적지 않았다.
경영실적과 연말성과급 지급 결정여부를 교차해서 봐도 '경영실적 개선'을 답한 기업의 '연말성과급 지급' 비중이 33.9%로 가장 높았다. 반면 '악화'를 답한 기업 중 '지급'을 선택한 비중은 단 3.4%에 그쳤다. 반면 '연말성과급을 지급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경영실적 악화' 그룹에서 52.7%로 '개선' 그룹의 22.6%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성과급을 지급하는 기업(96개사)들이 지급하는 연말성과급은 1인당 평균 416만원(개방형 응답 집계결과)이었다. 기업유형별로 살펴 보면 대기업의 1인 평균 성과급이 721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중견기업 325만원, 중소기업 169만원 순이었다.
기업들이 연말성과급을 지급하는 방식은 '개인별 실적에 따른 차등지급(32.4%)'과 '사업 부문 및 부서실적에 따른 차등지급(30.2%)'이 대표적이었다. '직급에 따른 차등지급(20.8%)'이나 '개별 실적과 관계 없이 회사 실적에 따른 일괄지급(15.6%)' 방식을 따른다는 응답도 있었다.
한편 기업들이 직원들에 연말성과급을 지급하는 이유로는 직원들의 사기 진작과 노고에 대한 보상이 가장 컸다. 조사 결과 '직원들의 사기 진작, 애사심 고취를 위해' 성과급을 지급한다는 응답이 53.1%의 응답률로 가장 높았던 가운데 '노고에 대한 환원, 보상'을 꼽는 응답률도 42.7%로 높았다. 이어 '상여금 지급 규정이 정해져 있어서(29.2%)', '만족할만한 실적을 달성해서(26.0%)', '동기부여를 위해(22.9%)', '유능한 인재를 관리하기 위해(13.5%)' 등의 이유도 뒤따랐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