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사봉 두드리는 이창용 한은 총재 [제공/연합뉴스DB] |
경제·금융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5%대에 이르는 소비자물가, 1%포인트(p)로 벌어진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등을 고려해 금통위가 다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예상대로 이날 베이비 스텝(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이 이뤄지면, 4·5·7·8·10월에 이은 사상 첫 여섯 차례 연속 인상으로 시장과 전문가들은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무게를 두는 것은, 무엇보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력이 뚜렷하게 줄지 않았기 때문이다.
10월 소비자물가지수(109.21)는 작년 같은 달보다 5.7% 올랐다. 상승률이 7월(6.3%) 정점 이후 8월(5.7%), 9월(5.6%) 떨어지다가 석 달 만에 다시 높아졌다.
앞으로 1년의 물가 상승률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일반인)도 11월 4.2%로 10월(4.3%)보다 낮아졌지만, 7월 역대 최고 기록(4.7%) 이후 다섯 달 연속 4%대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다.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이례적 4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탓에 1%포인트까지 벌어진 한국(3.00%)과 미국(3.75∼4.00%)의 기준금리 차이도 한국은행의 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국제 결제·금융거래의 기본 화폐)가 아닌 원화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크게 낮아지면, 외국인 투자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위험이 커진다.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면,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0.75%포인트로 좁혀지지만, 다음 달 연준이 최소 빅 스텝(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만 밟아도 격차는 1.25%포인트로 다시 확대될 전망이나 그렇다고 10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빅 스텝을 밟을 만큼 긴박한 긴축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 속에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 초중반까지 떨어진데다, 미국이 12월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이 아닌 빅 스텝에 그치며 통화 긴축 속도 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채권시장 등에 여전히 남아있는 자금·신용 경색 위험, 갈수록 뚜렷해지는 경기 하강 추세 등도 한은 입장에서 부담이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내년 성장률 전망치로 1.7∼2.0%를 제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존 2.1%(8월 전망치)보다 0.1∼0.4%포인트 낮을 뿐 아니라, 2020년 역(-)성장 이후 최저 수준으로 다만 경기가 가라앉으면 물가 압력도 줄어드는 만큼,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예상치 역시 기존 3.7%보다 0.1∼0.2%포인트 하향 조정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