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in] 지난해 은행 부실채권 비율 0.64% 역대 최저… 꾸준한 대손충당적립률 적립 효과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1-03-22 08:21:59
  • -
  • +
  • 인쇄
-기업여신이 12.0조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대부분(86.1%) 차지
-가계여신(1.8조원), 신용카드채권(0.1조원) 순으로 나타

▲사진=국내은행의 부실채권 규모 및 비율 추이    [제공/금융감독원]
 지난해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국내 은행들의 자산 건전성이 양호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들이 이같은 결과는 대손충당금을 꾸준히 적립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0년 말 기준 국내 은행의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64%로 전년말(0.77%) 대비 0.13%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최저치다.

 

지난해 국내은행의 부실채권은 13.9조원으로 전년말(15.3조원) 대비 1.4조원 감소(△9.4%)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기업여신이 12.0조원으로 전체 부실채권의 대부분(86.1%)을 차지하며, 가계여신(1.8조원), 신용카드채권(0.1조원) 순으로 나타났다.

▲사진=부실채권 신규발생 및 정리 추이    [제공/금융감독원]

이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경기 불황 속에서도 아직까지 부실대출이라는 결과가 나타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각종 이자 지원 등 정책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말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38.8%로 전년말(112.1%) 대비 26.7%p 상승했다.

 

부실채권 비율은 부문별로도 일제히 전년보다 낮아졌다. 기업여신(0.92%)이 0.19%p 낮아진 가운데 대기업 여신(1.23%)은 0.27%p, 중소기업 여신(0.76%)은 0.13%p, 개인사업자 여신(0.27%)은 0.08%p 각각 떨어졌다.

▲사진=부문별 부실채권비율    [제공/금융감독원]

가계여신(0.21%)도 0.04%p 낮아졌다. 주택담보대출(0.16%)과 기타 신용대출(0.33%)이 각각 0.04%p, 0.05%p 내렸다. 신용카드채권(0.98%) 역시 0.14%p 하락했다.


신규 부실채권은 줄었지만, 은행들은 미래 위험에 대비해 충당금을 늘려 손실흡수 능력을 키우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