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감산 훈풍, 최악은 지났어도 불황은 1년 더”

이준섭 / 기사승인 : 2020-06-11 08:29:39
  • -
  • +
  • 인쇄
국내 정유사 정제마진 일부 '플러스' 회복세 보여, 수요 청신호도

포스트코로나 이후 수요 변화를 예의주시할 필요

▲초대형 유조선. [제공=현대중공업]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배럴당 1.7%(0.66달러) 상승한 39.6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8월물 브렌트유는 오후 530분 현재 배럴당 0.10%(0.04달러) 오른 41.22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미국의 원유재고가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국제유가는 상승세를 유지했다. 산유국들의 감산합의 연장이 지속적인 훈풍을 제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사상 최악의 1분기를 지낸 국내 정유 업계에 이달 들어 회복세가 감지되고 있다지난달부터 글로벌 락다운(lockdown)이 풀리기 시작하면서 석유제품 수요 반등에 대한 기대가 커진 탓이다.

 

하지만 코로나 영향과 정유 업계 사이클을 봤을 때 최소 1년 이상은 불황기가 이어질 것이라는 게 업계 전망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정유 4사 가운데 절반 이상은 이달 들어 정제마진이 플러스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한 정유사는 정제마진이 배럴당 8달러까지 뛰어올랐다.

 

정제마진은 최종 석유제품 가격에서 원유 가격과 수송·운영비 등을 뺀 것으로 통상 배럴당 45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앞서 국내 정유사 정제마진은 올해 1월부터 마이너스에 접어들며 업계에선 "팔면 팔수록 손해"라는 숨가쁜 비명소리가 터져 나올 정도였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까지 전 세계로 확산하며 4개 기업 1분기 적자는 4조원을 넘어섰다.

 

5월부터 회복세, 기대도 커져

 

정유사 한 관계자는 "5월부터 활동 제한이 풀리면서 수요가 회복될 것이란 기대가 커졌다""최악의 시기는 지난 셈"이라고 말했다.

 

증권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정유사 주요 수출국인 미국 휘발유 수요는 지난주 코로나19 이전의 80% 수준까지 회복했다. 또한 오피넷에 공개된 이달 국제 휘발유 가격을 보면 지난 3월 초 이후 3개월 만에 배럴당 40달러대로 올라섰다. 국제 유가 폭락 당시보다 2배 이상 상승한 가격이다.

 

대신증권 한상원 연구원은 "향후 수요는 67월 회복 국면을 거쳐 8월 이후 정상화할 것"이라며 "점진적 정제마진 상승이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증권가 컨센서스(실적 전망치)에 따르면 에쓰오일은 2분기 적자가 1000억원 이하로 축소되고, SK이노베이션도 1분기 2조원에 육박했던 적자 규모가 6000억원대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정유사 관계자는 "제품가격이 원유가격보다 상승 폭이 작다""2분기가 1분기보다는 좋겠지만 본격 회복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유 시장의 업황 사이클이 통상 3년 주기로 반복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소 1년 이상은 불황기가 이어질 것이란 설명이다.

 

정유 4사는3 20184분기 호황기가 시작된 지 4년 만에 급격한 수요 부진을 겪기 시작했다. 중국·미국 정유사 설비 증설, 전반적인 수요 부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수요 변화 감지... 포스트 코로나 이후 시장 제대로 살펴야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최근의 국제유가 상승은 락다운 해제 이후의 수요 회복 기대가 반영된 것"이라며 "코로나 장기화 여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NH투자증권 황유식 연구원은 "코로나19가 진정되더라도 생활패턴 변화로 정유 제품 수요 회복에는 긴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석유유통 전문가들은 지금부터가 더 중요해졌다고 말한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정유 업계에 또 다른 불확실성을 가져오고 있다는 분석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집콕 일상화, 해외 여행 감소, 전기차 사용량 증가 등 새로운 추세가 정착되고 있는 것은 정유업계 성장을 저해할 요소들이라는 것이다.

 

결국 포스트코로나 이후를 대비한 투자와 연구 개발, 수요 창출이 시급하다는 것이 업계내부 소식통들의 분석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