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주택 매매가격 전월보다 0.20% 상승…상승 폭은 석 달째 둔화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7 11:48:34
  • -
  • +
  • 인쇄
-지방의 경우 미분양 등 공급 영향이 있는 지역 위주로 하락
▲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 [제공/한국부동산원]

 

서울과 전국의 주택 가격 상승 폭이 석 달째 둔화하고 있다.

1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1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아파트·단독·연립주택 등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보다 0.20% 상승했다.

상승세는 지속됐지만, 지난 8월 0.83%까지 확대됐던 상승 폭은 9월 0.54%, 10월 0.33%, 11월 0.20%로 석 달째 줄었다.

나아가 인천이 0.06% 내리며 하락 전환한 영향으로 수도권 주택 매매가 상승 폭도 줄었다.

수도권 매매가 상승률은 8월 0.53%로 정점을 찍은 뒤 9월 0.39%, 10월 0.22%, 11월 0.11% 등으로 점차 둔화하고 있다.

전국의 주택 매매가는 0.01% 올랐다.

수도권과 마찬가지로 9월 이후 상승 폭이 빠르게 줄고 있다.

지방은 0.09% 하락하며 전월(-0.06%)보다 낙폭을 키웠다.

부동산원은 서울·수도권 시장과 관련 "역세권, 학군지 등 선호단지를 중심으로 국지적인 상승세는 관측되나 전반적으로 매수 관망심리가 확산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대출 규제 등 시장 불확실성이 이러한 관망 심리의 배경으로 추정된다.

지방의 경우 미분양 등 공급 영향이 있는 지역 위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서울에선 강남구(0.55%), 서초구(0.35%) 등 강남권이 견고한 상승률을 나타낸 가운데 성동구(0.39%), 용산구(0.34%), 마포구(0.31%) 등도 상승률이 서울 평균을 웃돌았다.

경기도에선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 발표로 재건축 기대감이 있는 안양시 동안구(0.47%)의 상승률이 높은 편이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