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가계·기업 금융불균형 비교 그래프 [제공/현대경제연구원] |
코로나19 이후 가계 빚이 크게 늘면서 가계 부채 수준이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보다 심화했다고 분석이 나왔다.
7일 현대경제연구원은 '금융불안정성, 장기균형선 넘고 있다' 보고서를 통해 국내 금융시장의 코로나19 위기(2020년 1분기∼2022년 2분기)에 따른 변동성 수준을 과거 위기 당시와 비교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각 금융시장을 나타내는 지표를 선정해 표준화한 뒤, 코로나19 위기의 변동성 수준을 외환위기(1997년 2분기∼1999년 1분기), 금융위기(2007년 3분기∼2009년 3분기) 때와 비교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위기의 평균 가계 금융 불균형 정도는 78.5p로, 장기평균 수준(28.5p)을 크게 웃돌았다.
이는 금융위기 당시 가계 불균형 수준인 75.4p보다 3.1p 높고, 외환위기 당시(52.5p)와 비교하면 26.0p 높았다.
금융 불균형이란 가계·기업 부채 수준이 국내총생산(GDP)을 비롯한 실물경제 수준과 비교해 얼마나 과도하게 늘었는지를 의미한다.
가계 금융 불균형이 높아졌다는 것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가계신용 증가율이 GDP 성장률을 큰 폭으로 웃돌았다는 뜻이다.
코로나19 위기의 기업 금융 불균형 정도는 71.9p를 기록해 외환위기(89.5p)나 금융위기(76.3p) 때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다만 장기 평균 수준인 50.0p를 크게 웃돌고 있어 향후 코로나19 유행이 지속될 경우 위기 수준에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
코로나19 위기의 채권·주식 시장 등 자산시장 변동성 수준은 외환·금융위기 당시보다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
▲ 사진=환율 변동성·대외 채무 비교 그래프 [제공/현대경제연구원]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