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성장률 전망 1% 안팎 그칠듯…5월 성장률 하향·금리 인하 불가피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5-04-18 09:12:17
  • -
  • +
  • 인쇄
-정치 혼란 장기화, 산불, 미국발 관세전쟁 등이 겹치면서 올해 한국 경제 전망 어두워
▲ 사진=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 [제공/연합뉴스]

 

올해 한국 경제 전망이 갈수록 더 어두워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17일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직후 '올해 1분기 및 향후 성장 흐름 평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1분기 성장률(직전분기 대비)은 2월 전망치 0.2%를 밑돈 것으로 추정되며, 소폭의 마이너스(-) 성장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한은이 수정 경제 전망 발표(5월)를 앞두고 미리 분기 성장률 중간 집계 상황을 공개한 것은 이례적이다.

시장의 충격을 줄이고, 다음 달 기준금리 인하 명분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성장 부진의 배경으로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와 미국 관세정책 우려로 3월 중 경제 심리 위축 확대, 역대 최대 산불 피해, 일부 건설 현장의 공사 중단, 고성능 반도체(HBM) 수요 이연 등이 거론됐다.

앞서 노무라증권도 올해 1분기 한국 경제가 0.1% 정도 뒷걸음쳤을 것으로 예상했다.
 

▲ 사진=1분기 경제심리지수 등 [제공/한국은행]

1분기 내수 부진에 예상보다 강한 미국의 관세 조치까지 반영되면, 한은의 연간 성장률 눈높이도 상당 폭 낮아질 가능성이 커졌다.

이날 한은은 보고서에서 "1분기 경기 부진에 최근 미국의 강도 높은 관세 조치까지 가세해 2월 전망 당시와 비교해 국내 성장의 하방 리스크(위험)가 상당폭 확대됐다"고 진단했다.

금통위 역시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앞으로 내수 부진이 일부 완화되겠지만, 수출은 통상 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돼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며 "이에 따라 올해 성장률은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성장률 하향 조정 폭과 관련해 "지금까지 상호관세, 대(對)중국 관세, 품목별 관세, 10% 기본관세 등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나온 것을 보면 2월 성장 전망 시나리오는 너무 낙관적"이라면서도 "하지만 관세 정책 변화가 심하고 협상 등이 남아 있어 구체적으로 성장률 전망치가 얼마나 낮아질지는 지금 얘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미 해외 투자은행(IB) 사이에서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이 1% 안팎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JP모건이 최근 1.2%에서 0.7%로 더 낮췄고, 씨티와 노무라도 1%대 턱걸이 수준인 1.2%를 제시하고 있다.

한은도 "4월 10일 현재 주요 40여개 IB 등 시장 참가자들의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 중윗값은 1.4%, 하위 25%는 1.1%"라고 소개했다.

2월 전망 당시 한은이 비관적 관세전쟁 시나리오에서 올해 성장률을 1.4%로 봤고, 한은 스스로 "실제 미국 관세정책이 예상보다 더 세다"고 평가한 만큼 대규모 추가경정예산 집행이나 관세 협상 타결 등이 없는 한 5월 전망치는 1.4%마저 밑돌아 1% 안팎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