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요층을 위한 대출 기준 완화로 2030세대 아파트 매입 증가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3-04-03 09:29:55
  • -
  • +
  • 인쇄
-전월의 29.85%보다 2%포인트 이상 상승
-2021년 1월, 33.0% 이후 2년1개월 만에 최대 수치
▲ 사진=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제공/연합뉴스]

 

특례보금자리론 신설과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등 실수요층을 위한 대출 기준이 완화되면서 20·30세대의 아파트 매입이 다시 늘고 있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연령대별 주택거래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2월 20대 이하와 30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은 31.96%로 30%를 넘어섰다.

이는 전월의 29.85%보다 2%포인트 이상 높은 것이면서 2021년 1월(33.0%) 이후 2년1개월 만에 최대 수치다.

지난해 10월 26%까지 떨어졌던 서울 아파트 2030 매입비중은 지난 2월 34.7%로 올라서며 1월(30.8%)보다도 4%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구별로 강서구의 2030 매입 비중이 54.7%로 전체 거래의 절반을 넘어섰다. 강서지역은 9억원 이하 아파트가 많고 최근 시세보다 싼 급매물이 늘면서 젊은층이 매입에 나선 것이다.

또 성동구(45.6%), 금천구(45.5%), 영등포구(43.9%), 동대문구(42.9%), 도봉구(41.4%), 강북구(40%) 등도 2030 구매 비중이 40%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집값이 크게 하락한 경기도는 2030 매입 비중이 1월 32.7%에서 2월 36.4%로, 인천은 32.1%에서 33.1%로 각각 증가했다.

올해 증여 취득세 과세표준이 시가 인정액(종전 공시가격)으로 바뀐 이후 연초 크게 감소했던 증여도 이달 들어 다시 늘며 예년 수준을 회복하는 모습이다.

서울 아파트의 경우 지난해 12월 과세 기준 변경 전 증여 수요가 한꺼번에 몰리며 29.9%까지 증여 비중이 치솟았으나 올해 1월 10.8%로 급락한 뒤 2월에는 13.9%로 다시 증가했다.

작년 2월 증여 비중이 10.9%인 것을 감안하면 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다만 지난 2월 전국 아파트 증여 비중은 7.5%로 전월(8.6%)보다 소폭 하락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