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의 아파트 단지 [제공/연합뉴스] |
서울 마포·성동구 아파트 가격이 2013년 관련 통계 공표가 시작된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26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넷째 주(23일 기준)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43% 올랐다.
상승 폭이 지난주의 0.36%보다 더 커져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6년 9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올해 2월 초 상승 전환한 이후 21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내에서도 비(非)강남권 '한강벨트' 아파트값 상승이 특히 가파르다.
한 주간 성동구가 0.99%, 마포구는 0.98% 올랐다. 이런 상승률은 2013년 1월 한국부동산원이 주간 아파트 가격 통계 공표를 시작한 이후 가장 높다.
광진구(0.59%) 상승률 역시 역대 최대폭으로 뛰었다.
강남권에서 시작된 상승세가 성동·마포·강동 등 주변 지역을 넘어 서울 전역으로 퍼져나가는 가운데, 강남 3구 상승률도 꺾이지 않고 있다.
강남(0.84%), 서초(0.77%), 송파구(0.88%) 아파트값은 2018년 1월 넷째 주 이후 7년 5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강동구(0.74%)와 동작구(0.53%)는 2018년 9월 이후 6년 9개월 만에 최고치로 뛰었다.
용산구는 지난주 0.71%에서 0.74%로 오름폭이 커졌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선호 단지 중심으로 매수 문의가 증가하고, 매도 희망 가격이 상승하고 있으며 상승 거래 사례가 포착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 |
▲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제공/한국부동산원] |
경기 성남시 분당(0.67%)과 과천(0.47%) 아파트 가격 상승 폭도 상당하다.
경기도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0.03%에서 0.05%로 소폭 높아졌다.
인천 상승률은 지난주와 같은 0.01%다.
올해 들어 6월 넷째 주까지 누계로 서울 아파트값이 3.10% 오를 때 지방은 1.05% 떨어졌다.
이번 주에는 경북(-0.08%), 광주(-0.07%), 대구(-0.07%)의 하락률이 상대적으로 컸다.
세종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0.10%에서 0.04%로 축소됐다.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이번 주 0.06%로, 지난주(0.05%)보다 소폭 확대됐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