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데일리매거진DB |
내년 서울 강남권 아파트 소유자의 보유세가 올해보다 20% 이상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공시가격에 시세만 반영되도록 현실화율(시세 대비 공시가격 비율)을 동결했지만, 올해 들어 강남권 아파트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8.1% 올랐다.
올해 9월 지수가 하락하며 상승세가 꺾였지만, 12월까지 하락한다 해도 지난해보다 아파트 공시가격이 오르고 보유세는 그만큼 높아질 수 있다.
이는 지난해 시장 분위기와 유사한 양상이다.
작년에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9월까지 13.13% 상승했으나, 10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해 연말 누적 상승률이 10.02%로 축소됐다.
올해 집값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지역인 서초구 반포의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84㎡는 내년 보유세 추정치가 1천407만9천원으로 추정됐다.
올해 납부 추정액(1천160만8천원)보다 247만1천원(21.3%) 증가한 규모다.
공시가격 추정치는 올해 9월 실거래 시세에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 69%, 공정시장가액비율 43∼45%를 적용해 산출했다.
다만 연말까지 집값 변동에 따라 보유세 규모는 달라질 수 있다.
시세가 하락한 지방 중저가 아파트 단지의 경우 내년 보유세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방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올해 들어 9월까지 0.4% 떨어졌다.
이 기간 부산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0.9%, 대구 2.0%, 광주는 1.9% 하락했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수도권 연립·다세대주택도 아파트 못지않게 가격이 올랐다.
이에 따라 내년 공시가격이 올해보다 상승하는 곳이 많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