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수도권의 한 아파트 @데일리매거진DB |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 폭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부동산원이 26일 발표한 '9월 넷째 주(23일 기준)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보다 0.12% 오르면서 2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전국 기준 아파트 가격 상승률 역시 지난주 0.05%에서 이번 주 0.04%로 다소 줄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8월 둘째 주 0.32% 오르며 5년 11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이후 0.28%→0.26%→0.21%→0.23%→0.16%→0.12% 등으로 대체로 상승 폭이 줄어드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매매시장은 여전히 집을 사려는 사람이 팔려는 사람보다 많은 상황이지만, 매수세는 주춤해졌다.
8월 둘째 주 104.8로 연중 최고치를 찍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이후 하락 추세를 보이면서 이번 주에는 전주 대비 1.1포인트 떨어진 102.6을 기록했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넘으면 집을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많다는 의미며, 100 이하로 떨어질수록 그 반대를 의미한다.
구별로 보면 서초구가 반포·잠원동의 대단지 위주로 0.23% 오르며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고, 개포·압구정동의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오른 강남구가 0.21%로 그 뒤를 이었다.
용산구(0.19%)는 이촌·이태원동의 중소형 규모 단지 위주로, 광진구(0.19%)는 광장·자양동 재건축 추진 단지 위주로, 마포구(0.18%)는 신공덕·아현동 역세권 단지 위주로, 송파구(0.17%)는 문정·신천동의 주요 단지 위주로 각각 가격이 올랐다.
![]() |
▲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제공/한국부동산원]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