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시내의 한 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현수막 [제공/연합뉴스] |
올해 3분기(7∼9월), 주택담보대출을 비롯한 전체 가계 빚이 다시 역대 최대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천913조8천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말(1천895조8천억원)보다 18조원 많을 뿐 아니라,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공표 이래 가장 큰 규모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부채'를 말한다.
우리나라 가계신용은 통화 긴축 속에서도 지난해 2분기(+8조2천억원)·3분기(+17조1천억원)·4분기(+7조원) 계속 늘다가 올해 1분기 들어서야 3조1천억원 줄었지만, 곧 반등해 두 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증가 폭도 2분기(+13조4천억원)보다 3분기(+18조원)에 더 커졌다.
2021년 3분기(+35조원) 이후 3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빼고 가계대출만 보면, 3분기 말 잔액이 1천795조8천억원으로 전 분기 말(1천779조8천억원)보다 16조원 불었다.
![]() |
▲ 가계신용 추이 [제공/한국은행] |
주택담보대출이 22조2천억원 불었고, 기타 대출까지 5천억원 증가했다.
하지만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잔액 304조3천억원)은 1조7천억원 줄었다.
주택담보대출은 9천억원 늘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6천억원 축소됐기 때문이다.
보험·증권·자산유동화회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잔액 532조4천억원)도 4조9천억원 감소했다.
보금자리론 등이 상환되고 증권사 신용공여가 감소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가계신용 증가 배경에 대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늘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작년 4분기 5만3천호에서 올해 1분기 5만9천호로 늘었고, 2분기와 3분기 각 8만3천호, 9만6천호로 뛰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