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데일리-경제만평=산업은행 부산이전 급물살…떨고있는 국책은행 ⓒ데일리매거진 |
KDB산업은행의 부산 이전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국책은행들도 노심초사하는 분위기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인 지난 1월과 지난 8일 선거운동 때 부산을 방문해 산업은행 부산 이전을 거듭 약속했다.
윤 당선인은 당시 "국회를 설득해 한국산업은행법을 개정하고 KDB산업은행을 여의도에서 부산으로 옮기겠다"며 "부산을 세계적 해양도시, 무역도시로 발전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국민의힘 부산선거대책위원회도 "대선 공약인 산업은행 이전을 통해 부산이 명실상부 동북아 금융허브 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지원 사격을 했었다.
산업은행 측은 이동걸 산은 회장까지 나서 '부산행'에 강력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방 이전으로 낼 수 있는 긍정적 효과 보다는 업무 효율성 저하 등 오히려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부작용이 더 크단 것이다.
혁신성장 지원, 기업 금융지원, 기업 구조조정 등 산은의 핵심 업무는 내부 인력 외에도 정부 관계부처, 법률, 조세, 컨설팅 등 전문과들과의 협업이 필수적인 만큼, 효율적인 집적효과를 위해선 서울이라는 지리적 이점을 간과할 수 없단 것이다.
이 회장은 지난 1월 기자간담회에서 "지방이전은 진보가 아니라 퇴보"라며 "금융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산은이 부산으로 간다고 해서 산업이 발전되고 돈이 생기는 게 아니다. 득보다 실이 많다"며 반대의 뜻을 분명히 한 바 있다.
금융노조 측도 인수위 측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금융노조는 "산은을 포함한 국책은행이나 많은 은행의 본점 이전은 곧 동아시아 금융중심지 정책 포기와 직결된다"며 "홍콩의 정치적 불안으로 금융기관이 이전하는 이른바 헥시트(HEXIT) 같은 기회 요인에도 아직 서울이 동아시아 금융중심지로 자리 잡지 못한 상황에서, 글로벌 도시로서 서울을 포기하는 것과 동시에 금융산업 전체의 경쟁력을 더 약화시키는 무지의 소산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산은 뿐 아니라 한국수출입은행, IBK기업은행, 수협은행, 예금보험공사 등 다른 국책·특수은행들과 금융공기업들도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금융공기업 지방이전은 매 선거철마다 나오는 단골 공약이지만, 산은의 이전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만큼 타 기관들도 영향권에 들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방선거가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앞으로 지역 현안에 대한 집중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다.
▲일러스트=김진호 화백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