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마련 용도 신규 가계부채…고소득층 비중 높아

이정우 기자 / 기사승인 : 2024-10-07 12:32:24
  • -
  • +
  • 인쇄
-차규근 의원 "소득 계층 간 자산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 사진=서울의 한 아파트 @데일리매거진DB

 

주택 마련 용도 신규 가계부채에서 고소득층 비중이 유독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한국노동패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전국 5천가구 중 1천734가구가 주택 마련 용도로 신규 가계부채를 얻었다.

연도별 주택 마련 용도 신규 가계부채는 지난 2015~2017년 1천가구를 소폭 웃돌았으나,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한 2018년부터 1천700가구 안팎으로 치솟은 상황이다.

이는 2022년 기준으로 전세자금대출(516가구), 사업자금(481가구), 생활비(324가구), 재테크(190가구) 등 다른 용도에 비해 월등히 많은 수준이다.

지난 2022년 주택 취득 목적 신규 가계부채를 소득 분위별로 보면, 4분위(578가구)와 5분위(652가구)가 전체의 71.5%를 차지했다.

2020년 4분위(545가구)와 5분위(647가구)가 전체의 71.2%, 2021년 4분위(557가구)와 5분위(615가구)가 전체의 70.8%를 각각 차지하는 등 근소하게나마 매년 비중이 확대됐다.

차 의원은 "집을 사기 위한 가계부채가 고소득층에 몰려 있다"며 "정부는 전체 가계부채 증가가 결과적으로 소득 계층 간 자산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은도 지난 2004~2021년 한국노동패널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증가가 불평등 확대와 무관치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당시 한은은 "주택 취득 용도의 가계부채 증가는 고소득 가계 위주로 월세 등의 소득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불평등을 심화하는 데 기여한다"고 지적했다.

 

▲ [제공/차규근 의원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