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의 아파트 [제공/연합뉴스] |
6·27 대출 규제로 주택 매매 거래가 감소한 데 이어 경매 시장의 열기도 다소 진정 기미를 보이고 있다.
20일 법원경매정보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아파트의 경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격 비율)은 94.9%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의 98.5%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지난 2월(91.8%)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물건별 응찰자수도 평균 7.3명으로 지난달 9.2명보다 줄었고, 올해 1월(7.0명)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경매 낙찰가율이 소폭이나마 하락한 것은 6·27 대출 규제로 주택담보대출이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되고, 경락잔금대출을 받으면 경매 낙찰자도 예외없이 6개월 내 전입 의무가 부과되면서 투자 수요가 일부 감소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대출 규제 이후 일반 매매 시장이 관망세로 접어들었고,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무리한 입찰을 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서울 인기지역의 아파트는 아직 대출 규제에 크게 타격받은 분위기는 아니다.
대출 규제 후에도 강남 3구 등 토지거래허가구역내 인기 단지나 재건축 추진 단지는 여전히 고가 낙찰이 이어지고 있다.
대출 규제 시행 한 달이 다가오고 있지만 아직 강남권 아파트값이 버티고 있고, 감정가가 시세보다 낮은 물건도 많기 때문이다.
또 경매로 낙찰받은 주택은 토허제 구역 내에서도 실거주 의무가 없어 낙찰 주택을 담보로 경락잔금대출을 받지 않는다면 전입 의무 없이 갭투자가 가능하다.
일부 낙찰자들은 6억원 한도와 전입 의무를 회피하기 위해 경락잔금대출 대신 매매사업자 대출 등 사업자 대출로 전환하면서 대출 규제의 영향이 반감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