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중구 명동거리 한 환전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환율 [제공/연합뉴스] |
중동의 지정학적 긴장이 지속되는 가운데 16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국내 금융시장이 크게 흔들렸다.
중동 위기로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한 상황에서 예상보다 강한 미국 소비지표에 금리인하 기대가 후퇴하고 미국 국채금리가 급등한 것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금융시장에선 이란과 이스라엘의 충돌이 전면전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낮게 보면서도 유가와 환율 흐름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일보다 10.5원 급등한 1,394.50원으로 마감, 7거래일 연속 연고점을 경신했다.
오전에는 17개월 만에 1,400원까지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오후께 외환당국이 환율 움직임, 외환 수급 등에 대해 각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구두 개입에 나서면서 오름폭을 줄였다.
코스피는 전장보다 2.28% 내린 2,609.63에, 코스닥지수는 2.30% 하락한 832.81로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천744억원, 2천934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특히 외국인은 이날 코스피200 선물을 1조1천400억원 순매도하며 5거래일 연속 매도 우위를 보이는 등 자금이탈 양상을 보였다.
이날 서울 채권시장에서 국고채 금리도 줄줄이 연고점을 기록했다.
3년물은 2.9bp(1bp=0.01%포인트) 오른 연 3.469%, 5년물은 3.8bp 상승한 연 3.532%를 기록했다.
10년물은 5.7bp 오른 연 3.618%로 거래를 마쳤다.
위험자산인 비트코인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에서 이날 오후 5시 4분 기준 1비트코인 가격은 전장 대비 0.74% 내린 9천5백81만1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홍콩 증권·규제당국이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처음으로 승인했음에도 미국 국채금리가 급등한 여파로 매도 압력이 커졌다.
전날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5개월 만에 4.6%대로 올라섰다.
이란과 이스라엘 양측 모두 확전은 원치 않는다는 메시지를 내놨다.
그러나 이스라엘 전시 내각이 역내 전쟁을 촉발하지 않으면서도 이란에 '고통스러운 보복'을 하는 다수의 보복 방식을 논의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중동의 긴장과 불확실성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안전자산인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원/달러 환율 급등을 유발했으며, 이는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의 대규모 자금 이탈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