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광화문의 한 버스정류장 전광판에 준법투쟁 재개로 인한 운행지연 안내문구 [제공/연합뉴스] |
서울 시내버스의 준공영제가 서울시와 버스 노사 등 당사자 간 갈등이 한꺼번에 불거지고 있다.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도입한 준공영제는 지자체가 버스업체의 적자를 메워주는 대신 취약지역 노선을 유지하는 등 공공성을 확보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안정적인 버스 운행이 가능하고 운수회사가 수익에만 집중하지 않아도 돼 서비스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과도한 재정 부담 누적, 민간자본 유입에 의한 공공성 훼손 등은 한계로 지적돼왔다.
과도한 재정 부담 문제는 이번에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단체협약(임단협) 협상이 파열음을 내면서 다시금 수면위로 떠올랐다.
그 중심에는 노사 양측이 이견을 좀처럼 못 좁히고 있는 통상임금 쟁점이 있다.
25일 서울시와 버스업계에 따르면 서울시와 사측은 지난해 12월 나온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에 맞춰 이번 임단협에서 임금체계를 개편해 통상임금 수준을 낮추자고 노조에 제안했다.
시는 기존 임금체계를 유지해 각종 수당을 통상임금에 반영하고 노조의 임금 인상 요구안(8.2%)을 모두 수용하면 월평균 임금이 약 25% 오르고, 운전직 인건비 총액은 1조6천180억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이 경우 예산은 2천800억원가량 추가로 필요하며, 재정 투입을 늘리지 않고 요금 인상으로 모두 충당한다면 현재 1천500원인 요금을 1천800원으로 올려야 한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하지만 노조는 통상임금 문제는 법원에서 해결해야 하므로 이번 교섭 대상이 아니라며 25%의 임금 인상을 요구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정기상여금 등을 먼저 포기하라거나 임금체계 개편에 동의하지 않으면 더 이상 대화하지 않겠다는 사측 입장은 노동자의 권리를 짓밟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
▲ 사진=서울 시내버스노사, 임단협 막판 협상 [제공/연합뉴스]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