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수출 1.4% 증가…반도체는 역대 11월 중 최대 수출로 증가세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2 09:36:21
  • -
  • +
  • 인쇄
-반도체 수출은 13개월 연속 증가
-자동차는 11월 수출이 56억달러로 작년보다 13.6% 감소
▲ 사진=부산항 신선대부두 [제공/연합뉴스]

 

한국의 11월 수출이 1.4% 증가하면서 수출이 14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11월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11월 수출액은 563억5천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증가했다.

한국의 수출은 작년 10월 증가율이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된 뒤 14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다만 작년 10월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의 수출이 반등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으로 수출 증가율은 점차 둔화하는 추세다.

올해 수출 증가율은 1월 18.2%로 최고점을 찍은 뒤 등락을 반복하다 지난 7월 13.5%에 이어 8월 10.9%로 꺾인 뒤 9월 7.1%, 10월 4.6%, 11월 1.4%로 낮아지고 있다.

누적 기준으로 올해 11월까지 수출액은 6천222억달러로 작년과 비교해 8.3% 증가했다.

15대 주력 수출품 동향을 보면, 반도체 수출은 13개월 연속 증가했다.
 

▲ 11월 15대 주요 품목별 수출액·증감률 [제공/산업통상자원부]

11월 반도체 수출액은 인공지능(AI) 열풍 속에 고부가가치 제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DDR5 수출 비중 확대 속에서 작년보다 30.8% 증가한 125억달러를 기록해 역대 11월 중 최대 실적을 나타냈다.

올해 1∼11월 누적 기준 반도체 수출은 1천274억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4% 증가해 역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한 컴퓨터 품목 수출은 122.3% 증가한 14억달러로 11개월 연속 증가했다.

무선통신기기 수출은 20억달러로 작년보다 19.7% 늘었다.

반도체에 이어 2위 수출 품목인 자동차는 11월 수출이 56억달러로 작년보다 13.6% 감소했다.

주요 자동차 부품 업체의 파업과 임금·단체협상 지연 영향으로 완성차 업체로 부품 공급 차질이 발생하면서 자동차 생산량이 감소한 가운데 11월 마지막 주 기상 악화 영향으로 수출 차량 선적이 지연된 것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산업부는 분석했다.

바이오헬스 수출은 작년보다 19.6% 증가한 14억달러로 5개월 연속 플러스 기조를 유지하면서 역대 11월 중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그간의 부진을 털어내고 지난 10월 수출 플러스로 돌아선 철강 수출은 27억달러로 1.3% 증가해 전월에 이어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선박 수출도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수출 물량 증가 등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70.8% 증가한 25억달러로 플러스로 전환됐다.

15대 주력 품목 중 반도체, 컴퓨터, 선박, 바이오헬스, 철강 등 5개를 제외한 10개 품목은 모두 작년보다 수출이 감소했다.

품목 별로는 디스플레이(-22.0%), 무선통신기기(-3.3%), 자동차(-13.6%), 자동차 부품(-8.0), 일반기계(-18.9%), 석유제품(-18.7%), 석유화학(-5.6%), 가전(-13.9%), 섬유(-3.8%), 이차전지(-26.3%) 등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