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매거진=신기현 기자] 한국이 이산화탄소(CO2) 배출 증가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나 '불명예 1위'에 올랐다.
앞서 CO2는 온실가스 대부분을 차지해 전 세계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글로벌 추세에 역행하는 '환경 후진국'인 셈이다.
11일 국제에너지기구(IEA) 보고서에 따르면 OECD 회원국의 1인당 CO2 배출량은 1990년 10.29t(톤)에서 2013년 9.55t으로 7.2% 감소했다.
우리나라에 이어 칠레(108.2%), 터키(62.4%) 등이 높은 배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OECD 회원국 전체 1인당 평균 CO2 배출량은 같은 기간 10.29t에서 9.55t으로 7.2% 감소했다.
슬로바키아는 이 기간 CO2를 42.2% 줄이면서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헝가리(-37.0%), 룩셈부르크(-36.2%), 스웨덴(-35.8%), 에스토니아(-35.6%) 등도 모범국가로 나타났다.
CO2는 온실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전세계가 이를 감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 같은 글로벌 추세에 역행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가 이처럼 온실가스 배출량이 급증한 것은 각종 연료, 특히 온실가스의 주범인 석탄연료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석탄연료 연소로 인한 CO2 배출량은 1990년 9천t에서 1995년 1억t, 2000년 1억8천t, 2005년 2억t, 2010년 2억8천만t에서 이어 2013년에는 2억9천만t까지 늘어났다. 이는 OECD 국가 전체(40억t)의 7% 수준이다.
우리나라의 1인당 석탄 사용량은 절대량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석탄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중국(2.07tce)은 물론 주요 석탄 사용 국가인 미국(1.93tce)과 일본(1.30tce) 보다도 월등히 높다.
한편, 에너지업계의 한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전력시장이 경제급전 방식을 택하고 있어 온실가스 배출이 많지만 연료비가 싼 석탄발전이 원자력발전 다음으로 많이 가동되고 있다"면서 "전 세계적인 친환경에너지 트렌드에 동참하고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픽사베이]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