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정재욱 기자] 국내에서 판매되는 담배갑에 부착해야 하는 흡연 경고그림이 공개된 가운데 경고그림 절반은 강도 높은 사진으로 포함했다.
보건복지부는 31일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경고그림위원회’ 제5차 회의를 열고 경고그림 시안 10종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담뱃갑 경고그림은 현재 전 세계 80개국에서 시행 중인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대표적인 비가격 금연정책이다.
우리나라는 작년 6월 국민건강증진법의 개정으로 도입이 확정돼 올해 12월 23일부터 시행된다.
이에 복지부는 한국형 경고그림 제작을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한 경고그림위원회를 구성, 해외 800여개 사례와 실험연구 등을 거쳐 10개 주제의 시안을 선정했다.
시안은 폐암, 후두암, 구강암, 심장질환, 뇌졸중 등 병변을 담은 5종과 간접흡연, 조기사망, 피부노화, 임산부흡연, 성기능장애 등을 주제로 한 비병변관련 5종이다.
복지부는 위원회가 확정·공표한 경고그림 시안 권고안에 대해 오는 6월 23일 이전까지 10개 이하의 경고그림을 최종 결정할 방침이다.
대한흉부외과학회 등 총 8개 전문학회 및 기관은 의학적 조언과 과학적 근거에 입각한 시안제작이 가능하도록 보유한 이미지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직접 의료기관에 방문해서 촬영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위원회는 경고그림 시안에 들어갈 내용이 흡연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질병인지, 치료시술이 사실과 부합하는지,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사례인지 등 사실성에 바탕을 뒀다.
또 혐오감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주제별로 시안을 3개 이상 제작(30개)해 검토하고 해외사례와 비교·검토하는 사전절차도 거쳤다.
한편 담뱃갑 흡연 경고그림 의무화는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이 작년 5월 진통 끝에 국회를 통과하면서 제도화됐다. 지난 2002년 이후 11번의 시도 끝에 13년 만에 입법화된 것이다.
[사진=YTN]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