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 R&D 기초연구 비중 39%까지 확대…新산업 창출 지원

고재열 / 기사승인 : 2016-03-15 10:29:19
  • -
  • +
  • 인쇄
80억 달러 이미 122% 초과달성

[데일리매거진=고재열 기자] 올해 정부가 과학기술 분야에서 국가 전략기술 개발,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신산업 창출 지원 등을 집중 추진하기로 했다.


15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최근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13∼2017)’의 2016년도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매년 과학기술기본계획의 5대 분야, 78개 추진과제에 대한 21개 중앙행정기관의 추진 실적을 점검하고 연도별로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지난해 추진 실적 점검 결과 과학기술 혁신역량 강화, 창업 활동 지원 등 대부분 지표가 정상적으로 추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술수출액은 2013년보다 184% 증가한 97억6500만 달러를 기록해 당초 2017년도 목표치로 잡았던 80억 달러를 이미 122% 초과달성했다.


다만 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강화, 삶의 질 투자 확대 분야에선 개선이 요구돼 올해 시행계획과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R&D) 투자방향에 반영해 보완하기로 했다.


미래부는 올해 시행계획에서 먼저 정부 연구개발(R&D) 투자와 관련해 기술 분야·정책 유형별로 정부 R&D 중장기 투자 전략을 마련해 선택과 집중에 따른 투자를 강화하기로 했다.


중장기 창의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정부 R&D의 기초연구 비중을 39%로 확대하고, 중소·중견기업 투자 비중도 18%까지 늘려 당초 2017년도로 잡은 목표(18%)를 조기 달성한다는 내용도 계획에 담겼다.


아울러 국가 R&D 사업에 관한 연구 서식과 제출서류를 간소화해 연구자의 행정 부담을 더는 등 연구자 친화적 환경을 만든다.


성공적 기술 이전을 위해 사업화 초기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지원을 확대하고, 정부출연연구원의 중소·벤처기업 기술혁신 지원도 강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