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95마스크 결핵, 사스 등 바이러스 발생 지역 의료인이 주로 사용"

[데일리매거진=천선희 기자] 메르스 확진 환자가 나날이 늘어감에 따라 국민들의 불안감이 커져가는 가운데, 서울시의 메르스 대응이 눈길을 끌고있다.
지난 2일 서울시는 성동구 용답동 서울시 비축약품 창고에서 자치구와 서울경찰청 소방재난본부 등을 대상으로 메르스 대응 방역물품을 지급했다. 지급되는 방역물품은 개인보호복(Level D) 3920세트, N95 마스크 3만 3800개, 체온계 300개, 검체 이송용기 90개 등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달 들어서는 밀접 접촉자 가운데 시설 입소를 희망할 경우 시설격리도 하고 있다"며 "메르스 확산방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메르스 확진환자가 증가함에 따라 서울시는 지난 5월 29일 방역대책본부장을 행정1부시장으로 격상했다.
지난 5월 31일에는 자가격리 대상자가 많은 6개 자치구의 부구청장 및 보건소장을 소집해 제1부시장 주재 하에 격리 대상자에 대한 24시간 감시체계 운영을 당부했다.
한편, 앞서 n95마스크는 결핵, 수막염균, 사스-코로나바이러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발생 지역에서 의료인이 주로 사용해왔다.
이와 관련해서 한 전문가는 "마스크는 어떤 형태든지 접촉했을 때 비말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N95 마스크는 일반 의료환경이 아닌데서 사용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출처=방송화면 캡쳐]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