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기획재정부는 2013년 기준 공공부문 부채가 전년대비 77조7000억원 늘어난 898조7000억원을 기록했으며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63%라고 밝혔다.
공공부문 부채 중 국가 간 재정건전성 비교 기준이 되는 일반정부 부채는 지난해보다 61조원 늘어난 565조6천억원으로 GDP 대비 39.6%를 나타냈다.
앞서 정부는 일반정부 부채 증가 요인으로 일반회계 적자 보전과 외환시장안정 등을 목적으로 한 국고채 증가를 지목했다.
비금융공기업 부채는 공공기관과 지방공기업 부채감축 계획 등으로 전년대비 증가율이 지난해 4.4%로 2012년의 7.0%보다 감소했다. 하지만, 금액 기준으로 비금융공기업의 부채는 17조3천억원 늘어나며 증가세를 이어갔다.
기재부는 일반정부 부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다섯번째로 작고, 비금융공기업 부채를 포함한 공공부문 부채도 주요국에 비해 양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OECD 국가 중 공공부문 부채를 산출하는 국가는 7개에 불과해 우리나라는 국제적으로 재정통계 발전을 도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기재부 관계자는 "단기적으로는 경기회복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부채 증가가 불가피하지만 중장기 재정건전성이 저해되지 않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며 "기재부에 재정기획국을 신설해 중장기 재정위험에 선제 대응하고 재정건전성 관리시스템을 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제공=방송화면]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