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해서 강조하기도 했으며 한미동맹 60주년을 기념해 동맹의 성과를 돌아보면서 양국간 미래지향적 관계 구축을 위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동북아 다자협력 구상 ▲글로벌 파트너십 등 3가지 비전과 목표의 주요 내용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60년전, 남북한 간의 군사충돌을 막기 위해 설치된 DMZ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지역이 되었다. 이제 DMZ는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진정한' 비무장 지대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그 곳에서 평화와 신뢰가 자라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며 "군사분계선으로 갈라져 있는 한국인들만이 아니라 세계인들이 평화의 공간에서 함께 만나게 되길 희망한다. 그날을 위해 미국과 세계가 우리와 함께 나서주길 바란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과정에서 지역공약으로 DMZ에 한반도 생태 평화벨트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지만 세계평화공원 조성 의지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DMZ라는 이름과는 반대로 '중무장' 지역인 이곳을 평화의 상징물로 삼아 세계에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구상을 알리겠다는 구상으로 읽힌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견지해 나갈 것"이라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북한의 핵은 절대 용납할 수 없고,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하게 대응하되, 영유아 등 북한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정치상황과 관련 없이 해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또 "지금 북한은 핵보유와 경제발전의 동시 달성이라는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세웠다"며 "그러나 북한 지도부는 확실히 깨달아야 한다.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핵무기가 아니라 바로 국민 삶의 증진과 국민의 행복"이라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박 대통령은 일본의 우경화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동북아 평화 협력 구상'과 관련 "역내 국가의 경제적 역량과 상호의존은 하루가 다르게 증대하고 있으나 과거사로부터 비롯된 갈등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며 "역사에 눈을 감는 자는 미래를 보지 못한다고 했다.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지 못하는 것은 오늘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내일이 없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미국을 포함한 동북아 국가들이 환경, 재난구조, 원자력안전, 테러 대응 등 연성 이슈부터 대화와 협력을 통해 신뢰를 쌓고, 점차 다른 분야까지 협력의 범위를 넓혀가는 동북아 다자간 대화 프로세스를 시작할 때가 되었다"며 "이러한 구상은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이 지역의 평화와 공동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재균형 정책과도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것이다. 여기에는 북한도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한국은 확고한 비확산 원칙 하에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추구하고 있다"며 "한국과 미국은 세계 원자력 시장에 공동진출하고 있고 앞으로 선진적이고 호혜적으로 한미 원자력협정이 개정된다면 양국의 원자력 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에 대한 미국의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