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정부 합동 의약품 리베이트 전담수사반(반장 고흥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장)이 동아제약이 무기명 선불카드인 기프트카드를 소위 '카드깡'하는 수법으로 수백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합동 수사반은 검찰·보건복지부·식약청 등으로 구성돼 있다.
합수반은 동아제약이 병원과 약국 등에 리베이트를 제공한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동아제약이 법인카드로 기프트카드를 대량 구매한 후 사채업소, 중간 유통업체나 상품권취급소 등을 이용해 현금화한 사실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프트 카드는 카드사나 은행 등에서 발행하는 무기명 선불카드로 상품권처럼 사용이 가능하며, 개인의 구매 한도는 100만원이지만 법인은 무제한이기에 주로 제약업계나 건설업계 등에서 선호하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에 합수반은 회사 법인계좌 추적 등을 통해 구체적 비자금 액수를 파악하는 한편 조성 방법과 경위, 정확한 용처 등을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동아제약이 카드깡으로 조성한 자금을 병·의원 관계자들에게 리베이트에 사용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또 합수반은 법인 계좌추적과 자금흐름 분석 등을 통해 300만원 이상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받은 병·의원 관계자들에 대한 1차 수사대상을 추려낸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만간 관련자들을 차례대로 소환해 정확한 액수와 대가성 여부 등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합수반 관계자는 "깡을 통한 '억' 단위 자금 조성은 회사 차원에서 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동아제약이 기프트 카드깡을 한 중간 유통업체, 회사 내부 연루자 등을 파악 중"이라며 "동아제약에 대한 수사는 계속 진행 중이기 때문에 현재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제약회사 법인카드 연간 사용액의 70~80%가 기프트 카드 구입 비용이라고 한다"는 내용을 언급해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이에 대해 동아제약은 "비자금 조성이나 리베이트 제공에 대해 확인된 바 없다. 검찰 수사를 지켜봐야 한다"고 말을 아끼고 있다.
앞서 동아제약의 검찰 식약청 압수수색은 지난 10월10일 한차례 실시된 후, 지난 1일 동아제약 경기지점 전산실, 일산 과 경북지점의 영업지점을 대상으로 추가 압수수색이 이뤄졌다.
동아제약은 지난 2010년 철원보건소 불법 리베이트 제공 혐의로도 적발된 바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