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무의미해진 '세계 최초' 5G 상용화 타이틀, 품질 개선 우선시되야

김영훈 / 기사승인 : 2019-05-03 16:27:44
  • -
  • +
  • 인쇄
3G보다 50배 빠른 전송속도

u=1323516178,3880183975&fm=11&gp=0.jpg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최근 삼성전자에서 갤럭시 S10 5G 스마트폰 모델을 출시하면서 본격적인 5G 시대가 시작됐다.


이미 3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5G 서비스에 가입했고, 3G보다 50배 빠른 전송속도에 소비자의 이목을 잡아끌기에도 충분했다.


5G는 초광대역 주파수를 활용해, 더 많은 데이터를 고속으로 보낼 수 있다. 5G 네트워크는 이론상 한 사람의 이용자에게 최대 20 Gbps 즉, 최대 1 G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제공할 수 있는 LTE에 비해서 20배가량 빠른 속도를 제공할 수 있으며, 20~30GB에 달하는 블루레이 고화질 동영상 영화를 받는다고 하더라도 수초 이내에 다운 받을 수 있다.


대규모 스마트 기기와 IoT 기기가 연결되더라도 속도 저하 없는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5G는 데이터 트래픽과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이 접속하더라도 속도 저하 없는 쾌적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5G 상용화 서비스 이후 기지국이 부족해 품질이 기대한 것보다 못 미친다는 불만이다. 또한 이통통신업체들의 홍보와 다르게 전송속도, 끊김 현상 등 다양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용자의 서비스 품질 개선에는 신경을 쓰지 않고 오로지 수익성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과장광고 꼼수로 소비자를 우롱하고 있으니 절로 눈살이 찌푸려진다.


'세계 최초' 타이틀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5G 서비스를 성급하게 준비하다보니 과실도 커진 셈이다.


5G가 가장 먼저 상용화 되었다고 해도 서비스 품질이 불안하다면 '세계 최초' 타이틀은 무의미하다.


이통사는 가장 완벽한 5G 품질을 위해 가입자 유치에만 열을 올릴 게 아니라 전국적으로 5G 기지국 확대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IT 강국의 위상을 확고히 하기 위한 일환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