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BMW 사태, 입이 열개라도 할말 없다

김영훈 / 기사승인 : 2018-12-26 16:03:30
  • -
  • +
  • 인쇄
국토부, 늦장 리콜로 BMW에 112억의 과징금

201810240935236649.jpg
▲사진=주행 도중 화재가 발생한 BMW 차량.


[데일리매거진=김영훈 기자] 국민의 불안을 극도로 증폭시켰던 BMW 화재 사고와 관련해 국토교통부와 민관합동조사단이 최종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그동안 BMW의 화재는 '앤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의 쿨러의 균열로 냉각수의 누수가 생기면서 이것이 엔진 오일 등과 섞여 엉겨 붙어있다가 500도 이상 고온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면서 발생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여기서 EGR은 디젤차의 배기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연료를 태우고 엔진을 빠져 나온 배기가스 일부를 냉각시켜 다시 엔진으로 주입하는 것이 핵심적인 역할이다.


조사단은 이외 문제도 지적했다. EGR 밸브의 반응속도가 느리거나 완전히 닫히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면 경고 시스템이 작동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는 주장이다. 이를 두고 지난 중간 평가 때 소프트웨어 조작이 의심됐지만 배출가스 규제가 같은 한국과 유럽의 화재 바생율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조작은 없다고 판정했다.


그동안 BMW는 운전자 관리 소홀, 안전 점검 실수, 원인 미상 등 대수롭지 않지 않게 생각하다가 결국 차량 결함으로 밝혀진 것이다.


더욱 문제가 된 것은 이미 2015년 차량 결함 사실을 미리 알고도 은폐했다는 것이다. EGR 쿨러 균열 문제 해결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던 것이 드러났다. 운전자의 안전이나 생명과 직결된 제품을 3년이나 은폐했다니 정말 어처구니 없고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오로지 기업 이미지와 매출 하락을 모면하기 위해 은폐를 선택하고 늑장 리콜을 진행했다는 점에서 BMW는 비난을 받아도 마땅하고 입이 열개라도 할 말이 없을 터이다.


국토부는 늦장 리콜로 BMW에 112억의 과징금을 물게 했지만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정부가 리콜강화제도를 속히 통과시켰다면 BMW에 20배가 넘는 2600억원 이상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었다.


소비자의 선택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BMW의 신뢰는 소비자 기만으로 이제는 바닥을 치고 있다. 소비자 덕을 본 BMW 이제는 소비자를 위해 모든 보호 조치를 하는 것이야말로 땅에 떨어진 신뢰를 다시 얻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