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지난 1년간 국내에서 발생한 자연 재해와 사회재난으로 인한 재산피해액이 3000억원에 이른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주민등록인구와 전국 행정구역, 공무원 정원, 지방자치단체 예산 등 행정안전 부문 통계를 정리한 '2018 행정안전통계연보'를 7일 발간했다.
행정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올해 지방자치단체 예산 규모(당초 예산 순)는 210.7조원으로 전년 대비 9.1%(17.5조원) 증가했다. 사회복지예산이 전년대비 15.5%(7.7조원) 증가한 57.1조원으로 전체 예산의 27.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환경보호 9.9%(20.8조원), 수송 및 교통 8.7%(18.3조원) 등의 순이었다.
지자체 재원조달의 자립 정도를 반영한 지표인 재정자립도가 여전히 50% 내외에 머물고 있다. 전국 평균은 53.4%로 전년도와 대동소이했다.
광역자치단체에서는 서울(82.5%)이 가장 높았고, 전남(20.4%)이 가장 낮았다.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서울 강남구(67.9%)가 가장 높았고, 전남 구례군(8.5%)이 가장 낮았다.
이밖에 구제역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한 가축피해 830억원 등 사회재난 16건으로 1천92억원의 재산 피해가 난 것으로 집계됐다.
김예순 행안부 정보통계담당관은 "최근 데이터에 근거한 과학적 정책 수립 및 효과 분석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통계관리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번 통계연보를 통해 국민들께는 관련 통계를 제시하고, 정책 관계자의 정책 수립·집행 및 학계 연구 등에 유용한 자료가 되기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