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매거진=김태수논설고문] 금융소비자원이 어제 “금감원의 금융사 채용비리 검사는 아직도 국민과 시장을 우롱하고, 특정 금융사 상대로 한 조폭행태의 검사만을 하고 있다”고 작심 비판했다. 금소원의 이같은 비판은 금융감독당국이 하나은행 등 특정 은행에 대해서만 검사를 벌이는 행태를 지적한 것이다. 정작 금융감독원 본인들과 권력기관 채용비리에 대해서는 회피하면서, 특정 금융사와 CEO만 겨냥한 편파 검사를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얼마전 하나은행 채용비리를 추가로 확인해 발표했다. 이번에 금감원 특별검사단이 추가로 확인한 채용 비리 정황은 채용 청탁에 따른 특혜채용 16건, 특정 대학 출신을 합격시키기 위한 최종면접 단계에서의 순위 조작 14건 등 모두 32건이다. 채용비리 의혹이 불거진 금융기관에 대해 특별검사를 벌여 엄단하는 것은 당연한 책무이다.
하지만 금소원의 지적이 아니더라도 금감원이 하나은행 등 5개 특정 은행만 채용비리가 있고, 나머지 12개 은행이나 금융공기업 등은 채용비리가 없다는 듯이 발표해 면죄부를 주는 행위는 적절하지 않다.
금융기관의 이같은 채용비리가 ‘금융기관 내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져왔다’는 점에서 하나은행 등 몇몇 은행에만 국한되지 않았을 것이라는 합리적 의심을 갖게한다. 그런 점에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비리의 온상이고, 적폐금융의 산실인데도 검사 조차 안하는 등 금융공기업들에 대해서는 채용비리가 전혀 하지 않는다는 것을 누가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인지 도저히 납득하기 어렵다”는 금소원의 지적은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금융권 채용비리 검사는 특정 은행에 한정해서 검사하는 지금과 같은 행태로 방치할 것이 아니라, 금융권 전체에 대한 전면적인 검사와 수사로 국민의 신뢰를 얻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금융당국자들의 비리 행위나 권력자들의 부당개입도 철저히 검사해 밝혀내길 촉구한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