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은경 환경부 장관과 리간제 중국 환경보호부 부장, 나카가와 마사하루 일본 환경성 대신이 25일 오후 경기 수원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제19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기자회견에서 공동 합의문 서명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한·중·일 3국이 미세먼지 연구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는 등 동북아 지역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공조에 나서기로 했다.
환경부는 25일 "제19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중국, 일본 환경장관들과 미세먼지 등 동북아 공통의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공동합의문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3국 환경장관회의는 지난 24일부터 25일까지 경기도 수원에서 개최됐다.
공동합의문에는 동북아 지역의 대기오염이 3국의 가장 시급한 환경문제 중 하나라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3국 환경장관은 2013년부터 진행해온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 물질 관측·분석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발간하기로 했다. 이는 차기 3국 국장급 회의에서 더 자세히 다뤄질 예정이다.
환경부는 "연구보고서가 발간되면 3국 간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추가적인 공동 대응방안에 관한 논의를 촉진해 보다 적극적인 감축을 추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지난 24일 중국, 일본과 각각 양자회담을 개최하고 국가별 환경협력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김 장관은 리간제 중국 환경보호부 부장과 함께 향후 5년간 양국 간 대기오염 대응을 비롯한 물, 토양·폐기물, 자연환경 보전 등에 관한 '한·중 환경협력계획('18~'22)'에 합의했다.
일본 나카가와 마사하루 환경대신과의 회담에서는 양국의 환경개선 우수사례를 공유하고, 이른 시일 내 기후변화 대응을 주제로 한 양국 국장급 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김 장관은 "중국, 일본 양국에 지속가능한 동북아 환경을 위해 미세먼지를 비롯한 대기오염 문제가 중요함을 강조했으며 앞으로 실질적인 협력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3국 환경장관 회의를 통해 '동북아 청정대기 파트너십'(NEACAP·North-East Asia Clean Air Partnership) 설립 추진에 대한 중국, 일본의 참여와 협조를 요청했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공동연구를 발족하기로 합의한 점도 성과로 꼽힌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