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북한대학원대학교 총장)은 24일 "문재인 실장이 남북정상회담 준비는 물론 이후에도 안보 관련 일련의 후속 회의를 실질적으로 관장했다"며 "자신의 기억과 기록을 재차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송 전 장관은 이날 총장으로 재직 중인 북한대학원대를 통해 배포한 글에서, 자신의 회고록에 담긴 북한인권 결의안 기권 경위에 대한 문 전 대표의 전날 반박과 관련해 이같이 입장을 밝혔다.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10월 2∼4일) 추진위원장을 맡았던 문 전 대표가 정상회담 이후에도 안보 관련 주요 후속조치에 깊숙이 관여했고, 이런 맥락 속에서 그해 11월 북한인권 결의안 관련 논의에도 개입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송 전 장관은 백종천 당시 안보실장이 주재한 북한인권 결의안 관련 회의를 문재인 전 대표가 주재한 것처럼 자신이 회고록에 기술해 '중대한 기억의 착오'를 범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당시 회의에서 백종천 안보실장은 회의 진행을 맡았고 의견조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문재인 비서실장이 주요 발언권을 행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문 전 대표가 (기권) 결정에 이르기까지 본인이 취한 조치에 대한 자신의 기억과 기록을 재차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가 2007년 11월 16일에 이미 유엔의 북한인권결의 투표에 기권하기로 결정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송 전 장관은 자신의 회고록 내용이 맞다고 말했다. 그는 “대통령이 저자(본인)의 11월 16일자 호소 서한을 읽고 다시 논의해 보라고 지시한 것은, 최종 결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