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현대자동차 노조 파업에 대해 정부가 긴급조정권 발동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파업이 최대 분수령을 맞았다.
11일 중앙쟁의대책위원회는 노조의 최고 의결기구로 이 자리에서 앞으로의 파업 수위와 사측과의 임금단체협상 방안 등을 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파업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신형 그랜저 등 신차 생산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현재 파업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빗발치고 있고, 각종 경제지표들도 악화되는 모습을 보여 협상이 장기화되는 것은 노사 양측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에 맞서 현대차, 기아차, 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전 계열사 노조는 "정부가 긴급조정권을 발동하면 그룹 총파업을 불사하겠다"며 강경대응을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긴급조정권이 발동되면 30일간 파업이 금지되는 등 노조의 단체행동권이 제약을 받고 노조에 불리한 조건의 협약을 강요받을 수 있어 사측과 절충을 시도하는 안을 논의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현대차 노사는 지난 8월24일 1차 잠정합의안을 마련했으나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투표자 대비 78.05%의 반대로 부결됐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에서 임금 15만2050원 인상(기본급 대비 7.2%·호봉승급분 제외), 전년도 순이익의 30.0% 성과급 지급(주식 포함)을 요구하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