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 8개월 연속 올라…연 3.85%

이재만 기자 / 기사승인 : 2022-03-03 17:28:53
  • -
  • +
  • 인쇄
지난해 12월 3.63% 보다 0.22%p 올라, 8년 9개월만에 최고 수준 기록
▲ 예금은행의 가중평균 금리 추이 [제공/한국은행]

 

지난 1월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가 8개월 연속 올라 8년 9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1월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중평균·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3.85%로, 지난해 12월(3.63%)보다 0.22%포인트(p) 올랐다. 2013년 4월(3.86%)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주담대 금리는 지난해 6월부터 계속 올라 올해 1월까지 8개월 사이 1.11%포인트나 뛰었다. 이달 상승 폭은 전월(0.12%p)보다 더 커졌다.

신용대출 금리도 한 달 새 0.16%포인트 올라 5.28%에 이르렀다. 2014년 9월(5.29%) 이후 최고 기록이다.

이에 따라 전체 가계대출 금리는 연 3.91%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3.66%)보다 0.25%포인트 오른 것으로, 2014년 7월(3.93%) 이후 가장 높다.

송재창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장단기 지표금리가 오르고 중금리 대출이 확대되며 전체적으로 가계대출 금리가 상승했다"라고 설명했다.

예금은행의 1월 신규 취급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비중은 23.7%로 작년 12월(17.9%)보다 높아졌다.

기업 대출금리(연 3.30%)는 전월보다 0.16%포인트 올랐다.

대기업 대출금리와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각각 연 3.03%, 3.52%로, 0.17%포인트, 0.15%포인트씩 상승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금리를 모두 반영한 예금은행의 전체 대출금리 평균은 3.45%로, 전월보다 0.20%포인트 높아졌다.

이처럼 여신(대출) 금리는 올랐지만, 수신(예금 등) 금리는 일제히 내렸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과 양도성예금증서(CD)·환매조건부채권(RP) 등 시장형 금융상품의 금리는 각각 연 1.64%, 1.68%로, 전월보다 0.03%포인트, 0.14%포인트씩 떨어졌다. 따라서 예금은행의 전체 저축성 수신 금리(연 1.65%)도 0.05%포인트 내렸다.

신규 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대출 금리-저축성수신 금리)는 지난해 12월 1.55%포인트에서 1.80%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한 달 새 0.25%포인트 이상 격차가 커진 것은 2013년 1월(0.26%포인트) 이후 처음이다.

잔액 기준으로 총수신 금리(0.88%)와 총대출 금리(3.12%)는 전월보다 각각 0.05%포인트, 0.08%포인트 올랐다. 예대금리차는 0.03%포인트 확대된 2.24%포인트로, 2019년 7월(2.24%p) 이후 2년 6개월 만의 최대치다.

은행 외 금융기관 중 상호저축은행의 예금금리(1년 만기 정기예탁금 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43%로, 전월 대비 0.04%포인트 낮아졌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