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시설물+ICT 결합시킨 스마트폴 서울에 선보인다

이준섭 / 기사승인 : 2020-09-14 13:19:38
  • -
  • +
  • 인쇄
신호등·가로등 묶고 와이파이 연결... 15개 시범 설치

중국 심천에선 이미 유사 시설물 설치 확산해

▲ 스마트포 예시
도심 시설이 와이파이와 정보통신기술로 결합된다.

 

서울시는 도로시설물을 하나로 통합해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시킨 '스마트폴'을 구축해 나간다고 13일 밝혔다.

 

스마트폴은 신호등과 가로등, CCTV, 보안등 등 도로시설물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지능형 인텔리전트 도심을 꾸며갈 것으로 보인다.

 

곧 신호등과 가로등을 하나로 묶고 전기자전거 충전과 와이파이 연결도 가능한 도로시설물로 서울에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도로시설물을 통합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결합한 '스마트폴'을 개발해 다음달부터 15개를 시범 설치한다고 13일 밝혔다.

 

신호등·가로등·CCTV·보안등을 합친 지주형 인프라에 와이파이·자율주행·전기충전기 등 스마트 기기와 도시데이터 센서(S-DoT) 등이 탑재된다. S-DoT은 미세먼지·소음·조도·온도·습도·자외선 등 10가지 정보를 동시에 수집하는 센서다.

 

시는 설치장소 특성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결합한 10가지 기본모델을 개발하고 청계천변 청계1가 도로 일대 한양대 젊음의 거리 중랑천변 송정제방길 성동구청 일대 도로변 왕십리역 광장 등지에 시범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내년부터는 교체 시기가 된 시설물을 스마트폴로 통합해 구축하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현재 서울에 약 24만개의 지주형 인프라가 있고 해마다 35007천개가 교체된다.

 

서울시는 스마트폴 도입으로 각종 시설물 설치비용을 절감하고 도시미관을 개선하는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했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그동안 도로시설물과 각종 스마트 기기들이 적절한 기준 없이 도처에 설치돼 미관을 해치고 시민안전도 우려됐다""다양한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폴을 확대해 안전하고 쾌적한 스마트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중국 선전시(심천)에서도 이미 스마트폴이 설치되어 인기를 모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의 스마트폴도 우리나라 스마트폴과 비슷한 기능을 갖고 있어 CCTV 기능을 통한 도시 보안 관리 및 교통사고 등의 긴급사태 대응이 가능하다.

 

심지어 전기자동차 충전, 쓰레기통 빈공간 검색, 지진 감시, 드론 충전, 5G 통신망 등의 운용이 가능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선전시는 2019년 약 2000개의 스마트폴을 시범적으로 설치하였으며 올해 그 숫자를 대폭 늘려나가고 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