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전국 '항만 물동량' 석 달 연속 감소

이상은 / 기사승인 : 2020-06-21 11:59:58
  • -
  • +
  • 인쇄
해수부 "하역요금 신고제, 항만시설 전용 사용료 체계 개편 검토"
▲ 사진=부산항 신선대부두 컨테이너선 하역작업 [제공/연합뉴스]

 

해양수산부는 21일 올해 5월 항만 물동량이 1억1천874만t으로 지난해 같은 달 1억3천498만t 보다 12.0% 줄었다고 밝혔다.

항만 물동량은 작년 동기대비로 3월에 2.7%, 4월에는 8.9% 각각 감소해 석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코로나 19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물동량이 줄고 감소 폭도 점점 커지는 추세다.

항만 물동량 중 수출입 물동량은 지난해 같은 달 1억1천666만t 보다 14.0% 감소한 1억32만t으로 집계됐다.

다만 연안 물동량은 총 1천842만t으로 0.6% 증가했다. 인천지역 모래 채취가 지난해 10월부터 다시 허가됨에 따라 모래 물동량(176만t)이 지난해 같은 달 32만t의 5배 이상으로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전국 항만에서 처리한 화물 중 컨테이너 화물은 작년 동월 255만TEU 보다 9.1% 감소한 232만TEU를 기록했다.

컨테이너 중에서도 수출입화물은 11.0% 감소한 130만TEU를 나타냈다.

환적화물은 해운동맹 재편으로 광양항 물동량이 46.5% 급감한 영향으로 전체적으로 6.5% 줄어든 100만TEU로 집계됐다.

항만별 컨테이너 물동량안 부산항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5% 감소한 170만TEU, 광양은 13.9% 감소한 18만TEU였다.

화물 중 컨테이너가 아닌 화물의 물동량은 총 8천73만t으로 작년 동월 8천739만t 보다 7.6%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가 42.5% 감소한 405만t이었다. 이 밖에 유연탄과 광석이 각각 8.0%와 7.0% 줄었고 유류는 2.3% 증가했다.

김준석 해수부 해운물류국장은 "항만하역업계에 대한 지원대책을 보완하는 한편, 코로나19 이후 변화한 물류환경에 대비해 하역요금신고제와 항만시설 전용사용료 체계의 개편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 사진=주요 항만별 물동량 [제공/연합뉴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