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다세대·연립주택 세입자 10가구 중 3가구…불법건축물에 거주

정민수 기자 / 기사승인 : 2024-02-21 09:58:51
  • -
  • +
  • 인쇄
-다세대·연립주택 임차 가구 95만325가구 가운데 28.8%인 27만3천880가구가 불법건축물에 거주
▲ 사진=서울의 한 주거지역 @데일리매거진DB

 

전국 다세대·연립주택 세입자 10가구 중 3가구는 불법건축물에 살고 있다는 국책 연구기관의 분석 결과가 나왔다.

20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불법건축물의 주거용 임대 실태와 세입자 취약성 대응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다세대·연립주택 임차 가구 95만325가구 가운데 28.8%(27만3천880가구)가 불법건축물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위반건축물 대장과 2019∼2022년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임대차 자료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저층부에는 근린생활 시설을, 상층부에는 다세대·다가구 주택을 복합 용도로 배치한 뒤 근린생활시설을 불법으로 주거용으로 임대하는 '근생빌라'가 대표적이다.

일조나 사선 제한으로 건물을 짓지 못하는 베란다나 옥상을 불법 증축하거나 필로티 주차장 또는 1층 외부 공간을 확장해 주택을 만들어 임대하는 경우도 있다.

내부에 벽을 세우는 '방 쪼개기'로 세대 수를 늘리기도 했다.

실제로 건축법을 위반한 개별 가구에 거주하는 임차 가구 비율은 다세대 주택 6.6%, 연립주택 2.5%로 추정됐다.

단속이 부실한 점을 고려하면 불법건축물 거주 임차 가구는 더 많을 수 있다.

위반 건축물에 거주하는 임차 가구 비중을 따져보니 다세대주택의 경우 서울 동작(20.3%), 광진(18.8%), 중랑(18.1%), 강동(18.1%)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립주택은 경기 평택(33.7%), 서울 중구(19.6%), 동작(14.7%) 비율이 높다.

불법건축물이 양산되는 이유는 미비한 단속에다 이행강제금보다 불법 행위를 통한 기대 임대수익이 높기 때문이다.

현행법상 불법건축물 임대가 불법이 아니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연구진은 불법건축물 단속을 강화하고 이행강제금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세입자가 사전에 불법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불법건축물에 거주하는 세입자를 보호할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핫이슈 기사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