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한미정상 공동기자회견 [제공/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1일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고조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양국이 연합으로 억제하고 대응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은 이날 회담 후 마련된 기자회견에서 "핵 공격에 대비한 양국의 연합훈련 역시도 다양한 방식으로 필요하지 않으냐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고 밝혔다.
핵공격 주체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당연히 북한을 겨냥한 것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25일 열병식 연설에서 전쟁 억제뿐만 아니라 '국가의 근본이익 침탈 시도'로까지 핵 공격 범위를 넓혔다.
양국 정상이 핵 공격에 대비한 연합훈련 필요성을 언급한 것은 북한이 핵기술을 고도화하는 동시에 남한에 대한 선제공격 가능성을 시사하며 핵 사용 문턱을 낮췄다는 인식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한미 국방 당국은 북한의 핵 공격에 대응하는 연합훈련 계획 논의를 조만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핵 공격 대비 연합훈련은 북한의 핵 시설·기지 감시, 핵사용 징후 탐지, 실제 사용 때 격파 등 분야를 세분화해 연습 및 훈련 계획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연습 및 훈련 계획은 새로 마련된 작전계획(작계)을 준용해 설계될 것으로 보인다. 이 연합훈련은 시뮬레이션을 비롯해 함정 등 전력도 참여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미는 작년 12월 양국 국방장관 간 안보협의회의(SCM)를 계기로 신(新) 연합작계 수립에 합의한 바 있다.
작계 수정은 일종의 포괄적 가이드라인에 해당하는 전략기획지침(SPG) 승인을 시작으로 전략기획지시(SPD) 합의, 작계 작성 순서로 진행되는데, 지난 3월 말 SPD 합의까지 마무리되면서 본격적인 작성 작업에 착수한 상태다.
새 작계가 연말 정도에 구체화할 것으로 보여 북핵 공격 대비 연합연습은 빨라야 내년 정도에 이뤄질 것으로 예측된다.
여기에다 양국이 연합방위태세를 강화하고자 연합연습 및 훈련의 범위와 규모 확대를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로 한 것도 주목된다.
![]() |
▲ 사진=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소인수 정상회담 [제공/연합뉴스] |
양국 정상 공동성명에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라고 범위를 명기했다. 동·서해 및 남해 공해상에서도 연합훈련을 자주 시행하겠다는 의미다. 훈련 규모를 확대한다는 것은 실제 병력과 장비를 동원한 대규모 훈련을 지칭한다.
대통령실은 한미 연합연습을 '한미 연합연습의 정상화'로 표현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유사시 미국이 한국에 제공하는 '확장억제' 전력을 '핵·재래식·미사일 방어'로 구체적으로 명시한 것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양국 장관이 매년 주관하는 SCM 공동성명에는 이런 표현이 담기지만, 한미 최고위급에서 이를 명시한 것은 처음이다. 북한이 전술핵 선제 사용 가능성을 언급하는 상황에서 '핵은 핵'으로 대응하겠다는 분명한 대북 메시지를 발신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국가안보실은 "대북 억제 메시지와 및 대국민 안심 메시지를 동시에 발신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 |
▲ 사진=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집무실에서 소인수 정상회담 [제공/연합뉴스] |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