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열린 한은 업무보고에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위원들은 최근 불거진 '한은 직원 사찰' 논란에 대해 부적절한 대응이었다며 김 총재를 질타했다.
이와 관련해 류성걸 새누리당 의원은 "내부적인 문제를 외부의 법률자문사에 공식 문서를 보내 처리하는 것은 부적절했다"며 "직원과 더 소통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정성호 민주통합당 의원은 "지난 6년동안 발전전략참여방을 운영하면서 올라온 글과 관련해 법률 질의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러한 분위기가 한은 직원들의 자긍심을 떨어뜨려 물가안정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저해시키는 분위기를 만들게 된다"고 말했다.
박원석 통합진보당 의원 역시 "직원들이 비판을 한 글이 문제가 있다면 게시판의 운영 방안을 개선하면 되는 것이다. 법률적으로 의뢰한 것은 분란분자를 색출해 처벌하겠다는 것 아니냐"며 따졌다.
이에 대해 김 총재는 "이 문제가 불거진 것에 대해 유감스럽다"면서도 "직원들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려는 의도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김 총재는 "중앙은행 직원으로서 작성해서는 안 되는 글이 있다"며 일부 게시글에 대한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한편 한은은 지난달 행내 익명 게시판인 '발전전략참여방(발참방)'의 일부 게시글을 문제 삼아 법무법인 세종, 광장 등 2곳에 법적 처벌 가능성에 대해 물어 논란이 됐다.
한은은 법무법인 두 곳에 명예훼손·모욕 등 민·형사상 책임이 성립하는 글은 무엇이며 글 작성자를 찾기 위해 IP추적을 하는 것이 법적으로 가능한지 등을 따졌다.
한은이 문제로 삼은 것은 체육행사 진행방식과 경남본부장의 인사 발령, 김준일 부총재보의 대우 문제, 이주열 전 부총재보의 퇴임사에 대한 김 총재의 해명에 대한 불만이 담긴 글과 댓글이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