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구조조정 대상 산업 추가 선정 검토

고재열 / 기사승인 : 2016-04-19 14:56:52
  • -
  • +
  • 인쇄
추가 보완대책 내놓을 계획

[데일리매거진=고재열 기자] 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5대 취약업종에 이어 정부가 구조조정이 필요한 업종을 추가 선별하기로 밝혔다.


19일 각 정부부처와 산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금융위원회 주도로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를 열고 경기민감산업의 구조조정 현황을 점검하고 추가 취약업종 지정을 논의한다.


정부 관계자는 “이달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 개최를 목표로 실무선에서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며 “논의 결과에 따라 필요 시 취약업종을 추가로 지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경제 관계부처 차관급이 참여하는 이 협의체는 기간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방향을 논의하는 일종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1월 제2차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를 열고 경기민감산업의 구조조정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지원 방안을 공개한 바 있다.


이 회의에서 정부는 해운, 조선, 건설업의 구조조정 원칙을 구체화하고 석유화학과 철강 업종의 일부 공급과잉 해소 방안을 내놨다.


범정부 협의체는 이번 회의에서 앞서 발표한 5대 취약업종의 구조조정 진행 상황을 재점검하는 한편 상황변화를 반영해 필요 시 추가 보완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또한 산업별 분석을 토대로 부채비율이 높거나 만성적 공급과잉 등으로 구조조정을 유도할 필요가 있는 업종을 취약업종으로 추가 분류해 채권단 신용위험평가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게 할 방침이다.


시장에서는 디스플레이 업종 등이 일부 공급과잉을 해소할 필요가 있는 분야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정부 관계자는 "범정부협의체에서는 산업별 주무부서의 산업정책적 판단 등을 통해 구조조정의 큰 방향만을 제시한다"며 "개별기업 구조조정은 채권단과 기업의 자율적인 협의 아래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칼럼

+

스포츠

+

PHOTO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