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광용 기자] 국내 직장인의 평균 행복 수준은 100점 만점에 55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삼성경제연구소는 20일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올 해 4월 직장인 840여 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고 밝혔다.
업무 의미감,
상사.동료와의 관계, 심리 상태 등 직장생활 요인과 경제적 상황, 기부, 가족관계 등 일상생활 요인 총 16개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한국 직장인의
행복은 55점에 그쳤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48점으로 가장 낮았다. 30대가 53점, 40대가 56점, 50∼55세가
61점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행복 수준은 다소 높아졌다.
직장인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즐거움과 편안함, 웃음 등
긍정 감성으로 조사됐고 다음으로는 업무 의미감, 조직·상사의 지원 순이었다.
긍정 감성을 자주 느끼고, 자신의 업무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며, 조직의 탄탄한 지원 아래 리더십 있는 상사와 일하는 직장인일수록 행복하다는 것이다.
직장에 업무관계를 넘어 친밀하고
믿을 수 있는 친구가 존재하고, 회사에 쉴 수있는 공간이 있어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을 때에도 행복 수준이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직장인이 평균적으로 '삶 전반에서 느끼는 행복'은 64점인 데 비해 '직장생활에서 느끼는 행복'은 55점으로 저조했다.
[저작권자ⓒ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